티스토리 뷰

수족구병은 입 안,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이 특징적인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주로 4세 이하의 소아에게 발생합니다.

에어캡뽁뽁이

1. 수족구병의 정의

수족구병은 전염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주로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수족구라는 이름 그대로 손, 발, 입 안에 발진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COXSACKIE A16바이러스와 ENTEROVIRUS71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주로 봄과 여름철에 유행하며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2. 수족구병의 증상

초기에는 열, 식욕부진, 몸살 등 일반적인 감기와 유사한 증상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가벼운 질환으로 미열이 있거나 열이 없는 경우도 있다. 입 안의 인두는 붉어지고 혀와 볼, 후부인두, 구개, 잇몸과 입술에 수포가 나타날 수 있다.  수포는 1주일 정도가 지나면 대부분 호전이 자연적으로 됩니다.  목젖 주변을 포함하는 연구개 부위에 점막궤양이 잘 생깁니다. 궤양의 크기는 4-7MM 정도이고 일반적으로 심한 통증을 동반하며 붉거나 흰색일 수 있습니다. 어린 나이에 발병할 경우 음식을 먹지 못하고, 침을 삼키지 못해 침을 많이 흘리게 됩니다.  입안 내부에서는 혓바닥, 구강점막 등에 별도의 병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열에 해열제가 들지 않을 경우 열성 경련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아기

3. 수족구병의 원인

수족구병은 COXSACKIE A16바이러스와 ENTEROVIRUS71에 의해 주로 전파됩니다. 이 바이러그들은 사람-사람 간 절체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비를 맞거나 기침으로 인해 분비체가 확산되어 다른 사람들에세 전염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높은 역학적 활동을 보여주는 가정 내에서나 어린이 보호 시설에서 많이 발생하며 습기와 온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에 유행하기도 합니다.

4. 수족구병의 진단

수족구병은 주로 환자가 보여주는 증상과 복부 용융 상태를 통해 진단됩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바이러스 검사나 PCR(다중 중합 연쇄 반응)검사를 통해 구체적인 원인균을 확인할 수 도 있습니다.

5. 수족구병의 치료방법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승인된 항바이러스 약물 또는 백신은 없지만, 대부분 경미하게 자연 회복됩니다. 그렇지만 환자가 겪는 불편함을 줄여주기 위해서는 해열진통제 사용, 충분한 휴식 및 병원을 찾는 것을 추천합니다.

불편함 완화를 위해 항염증 약물(예 : 아세트아미노펜 ), 실용성 크림(예 : 아크릴렌)등 일부 약물 사용도 고려할 수 있으며, 특별한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는 1주일 정도가 지나면 수포성 발진이 대부분 호전이 됩니다. 합병증은 흔하지는 않지만, ENTEROVIRUS71에 의한 수족구병세서 발열, 두통, 경부(목) 등을 나타내는 무균성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실험이 단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백신 개발 역시 주목 받고 있는 영역입니다. 치료는 의료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는아기

6. 예방방법

수족구병의 예방방법에는 개인 위생 관리와 환경 청결 유지가 중요합니다. 손 씻기, 기침 에티켓 준수, 개인 용품 사용 등 예방조치를 지속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감염자와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손 씻기

비눗물과 미온수를 사용하여 자주 손 씻기를 실천하세요.

2. 기침 에티켓 준수

기침할 때 입과 코를 커버하기 위해 팔꿈치 내부로 기침하세요.

3. 개인 용품 사용 

개인용 타월, 젓가락, 숟가락 등 개인 용품을 사용하세요.

4. 감염자와 최대한 격리하기

어른들은 면역력이 높은 편이라 어린이-어른간은 전염이 잘 되지 않지만, 어린이 보호구역 같은 어린이집에서 전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발병 초기에는 집단생활을 피해야 합니다.

 

7. 결론

수족구병(HFMD)은 어린이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입니다. 손과 발 그리고 입 안에 발진을 일으키며 COXSACKIE A16바이러스와 ENTEROVIRUS71 등에서 유발됩니다.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승인된 치료법은 없으나 대부분 경미하게 자연 회복되며, 해열진통제 사용과 충분한 휴식 등으로 증상 완화를 도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