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RP와 ISA 차이 완벽 비교! 절세와 노후 준비의 핵심 전략

재테크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듣게 되는 말이 바로 "절세부터 시작하라"는 조언입니다. 그만큼 절세는 단순히 돈을 아끼는 것이 아니라, 합법적으로 수익을 지키는 전략이죠. 그 중심에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RP(개인형 퇴직연금)이라는 두 개의 대표적인 절세계좌가 있습니다.

둘 다 세제 혜택이 있지만, 목적, 사용 방법, 인출 시점 등에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잘못 선택하면 오히려 불편함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IRP와 ISA를 **절세 목적, 운용 방식, 인출 조건** 등을 기준으로 명확하게 비교해드립니다.

 

IRP와 ISA차이

📌 IRP란?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개인형 퇴직연금)은 근로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이 **노후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운용하는 퇴직연금 계좌**입니다.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 저율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ISA란?

ISA(Individual Savings Account,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다양한 금융상품(펀드, 예적금, ETF 등)을 하나의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5년 이상 유지 시 수익의 일부가 비과세되는 혜택이 있습니다.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하고, 중도 인출도 제한적이긴 하지만 부분 허용됩니다.

✅ IRP vs ISA 핵심 비교표

구분 IRP ISA
계좌 목적 노후 자금 준비 + 세액공제 자산 운용 + 절세 혜택
가입 대상 근로자, 자영업자, 소득 있는 자 누구나 만 19세 이상 (소득 조건 無)
납입 한도 연 1,800만 원 (세액공제는 최대 700만 원 한도) 연 2,000만 원 (최대 1억 원 납입 가능)
세제 혜택 세액공제: 최대 16.5% 절세 수익 중 200~400만 원 비과세, 초과분 분리과세
운용 가능 상품 펀드, 예적금, ETF, 채권 등 펀드, ETF, 예적금, 리츠, 파생결합증권 등
인출 제한 55세 이후 연금 형태로만 인출 (일시 인출 시 과세) 5년 유지 후 자유 인출 가능 (조건부 중도 인출 허용)
과세 방식 연금 수령 시 3.3~5.5% 분리과세 비과세 한도 초과 시 9.9% 분리과세
중도 해지 세제 혜택 환수 발생 조건부 인출 가능 (비과세 혜택 일부 축소)

ISA와 IRP차이

💡 시각적 비교: 어떤 사람에게 적합할까?

IRP 추천 대상

  • ✔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받고 싶은 직장인
  • ✔ 노후 준비를 체계적으로 하고 싶은 사람
  • ✔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로 인출하고 싶은 경우

ISA 추천 대상

  • ✔ 다양한 투자 상품을 운용하고 싶은 사람
  • ✔ 단기~중기 자금 운용 + 절세 혜택을 누리고 싶은 경우
  • ✔ 중도 자금 사용 가능성 있는 투자자

📍 결론: 둘 다 가입해도 될까?

많은 금융 전문가들은 "IRP와 ISA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둘 다 가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합니다.

  • IRP로는 연말정산 절세를 노리고, 55세 이후 연금 수령을 준비하고
  • ISA로는 투자 수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활용하면서 유동적인 운용을 할 수 있습니다.

단, IRP는 55세까지 자금이 묶인다는 점, ISA는 비과세 한도가 제한적이라는 점을 고려해 목적별로 계좌를 나누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1. CMA와 ISA의 차이점 완벽 정리! 투자 초보를 위한 핵심 비교 가이드

CMA와 ISA의 차이점 완벽 정리! 투자 초보를 위한 가이드요즘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CMA(종합자산관리계좌)와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중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곤 합니다. 둘

odagadab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