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에서 경기도 대학 다니는 대학생은 K-패스 유리

노원구에서 여의도 출퇴근하고 따릉이 이용하면 기후동행카드 유리

 

지하철 뱀눈이

 

심각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 고물가·대중교통 요금인상 등으로 높아진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자 정부와 지자체의 대중교통비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번 설명회를 통해 다양한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돼 민생 회복의 디딤돌이 되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 협력할 방침입니다.

 

1. K-패스는 무엇인가?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이용 시,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이용계층에 따라 20~53%)을

월 최대 60회까지 적립 후 다음 달에 환급받는 교통카드입니다.

현재 시행 중인 알뜰교통카드의 이용 불편을 개선하고 혜택을 보다 확대한 사업입니다.

 

예를 들어 매월 대중교통비로 평균 7만 원을 지출하는 사람이라면, 일반인은 1.4만 원, 청년은 2.1만 원, 

저소득층은 3.7만원을 절감해 연간 기준 17 ~ 44만 원까지 아낄 수 있습니다. 카드사의 추가 할인혜택(최대 10%)까지 더하면 교통비 절삼 효과가 꽤 커집니다.

 

K-패스 카드는 2024년 5월 부터 조기 시행예정이며, 최소 이용 횟수도 월 21회에서 15회로 낮춰 시행

 

K패스와 알뜰교통카드의 차이

 

기존 (알뜰교통카드)
도보, 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환급(출도착 기록 필요)
개선된 (K-패스)
월 15회 이상 사용 시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층 53% 환급(최대 60회)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는 K-패스로의 회원 전환 절차*를 거치면

기존에 발급받은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해 K-패스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신규 이용자는 K-패스 인터넷 홈페이지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11개 카드사 홈페이지 등에서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고른 후, K-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어플에서 이용약관 및 회원전환 등 동의 절차 진행 (2월부터 세부 안내 예정)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티머니,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

 

[출처] 5월부터 K-패스로 대중교통비 20~53%까지 돌려받는다|작성자 국토교통부

2. K-PASS 와 기후교통카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국토교통부는 한국형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인 K-패스 올해 5월부터 출시합니다. 이를 통해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청년·서민층 등 부담을 대폭 완화할 계획이며, 수도권 3개 지자체를 포함한 전국 17개 시·도(189개 시·군·구)와 협의를 완료하는 등 차질 없이 사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전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는 교통카드(월 최대 60회)입니다.

 

서울시는 수도권 시민의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활성화하는 정부 정책에 발맞춰, 월 6만원대 금액*으로 서울시내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 사업도 1월 27일부터 시행할 예정입니다. * 따릉이 포함 시 6.5만 원, 따릉이 제외 시 6.2만 원

 

서울시민은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중 본인의 대중교통 이용 패턴과 지역에 따라 가장 유리한 카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통비는 획기적으로 절감되고 이용자의 선택권은 확대될 전망입니다. 

 

 

예상 이용자 예시

∎ A 씨(22세) : 서울시 강남구에 거주하며 경기도 소재 대학교로 통학, 주말에는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인천으로도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  ⇨ K-패스(청년층)로 매월 대중교통비 30% 환급 (최대 60회)

 

∎ B 씨(50세) : 서울시 노원구에 거주하며 매일 여의도로 출퇴근, 주말에도 서울시 내에서 자주 대중교통 또는 따릉이를 이용 ⇨ 기후동행카드로 무제한 이용

 

∎C 씨(39세) :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며 서울로 매일 출·퇴근, 주말에도 활동이 많아 매월 6~70 회 대중교통 이용 ⇨ The경기패스로 60회 초과분까지 30% 환급

 

∎ D 씨(65세) : 인천시 연수구에 거주하며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가족·친지들과 자주 만나기 위해 매월 6~70회 대중교통 이용 ⇨ 인천 I-패스로 60회 초과분까지 30% 환급

여러 가지를 비교하여 자신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헷갈리는 K-패스·기후동행카드·경기패스 알뜰 사용법 알려드려요|작성자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 네이버 블로그

살기 좋은 국토, 편리한 교통!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공식 블로그입니다. 건강한 디지털소통을 위해 비방, 욕설, 개인정보, 허위사실, 재판·수사 등 부적절한내용이 포함된 댓글은 관리자가 삭제

blog.naver.com

 

3. THE- 경기패스는 무엇인가?

the-경기패스는 경기도가 발표한 교통비 할인 정책입니다. k-패스와 연계해 운영하되, 경기도민의 경우 이용 횟수에 제한이 없습니다. 또 청년 기준도 만 39세로 확대해 운영할 예정입니다. 특히 광역버스, 신분당선, 수도권광역급행열차(GTX) 등도 환급대상에 포함해 서울시 "기후동행카드"와 차별화한다는 방침입니다.

경기도는 K-패스 시행에 맞춰 "더 경기패스"도 올해 5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THE-경기패스로 월 60회 초과분까지 환급

만 35세 ~ 39세 경기도민 또한 청년층 기준이 적용되어 30% 환급